△ 규제와 진흥이 반반 정도. △ 미세먼지 대응: 신규화력발전소 신규 건설 재검토, 대형공기청정 타워 시범 설치, 배출총량제 도입.
0표
△ 규제 정책을 염두에 두고 있는 듯함 (원전안전 강화 및 석탄화력발전 하향조정은 분명). △ 원자력 및 석탄발전 업계의 손해가 예상되지만 미세먼지 대응책은 제도적인 개선을 이야기할 뿐, 구체적 규제 대책은 안 보임.
0표
△ 대체로 진흥 위주 정책. △ 미세먼지 대응: 석탄화력발전소 감축, 경유차 감축, 공장 배출기준 및 배출부과금 강화, 친환경차 보급 확대, 인공지능/빅데이터 활용 경보 구축 등.
0표
△ 안전성 규제 및 심사 강화 등 강력한 규제 정책 △ 화학물질 및 식품 관련 규제에서는 정보 공개 의무화, 미세먼지 등에서도 화력발전의 전면 중단, 노후 경유차 폐기 등 적극적 규제 주장. 물 공공성 확보 공약에서는 민간의 개입을 전면 금지
0표
△ 확실히 진흥 위주 정책 (재난정책보험, 안전산업개발, 안전인증제도, 원전해체기술개발 육성). △ 규제 정책 일부 존재 (경유버스 운행 억제, 석탄화력발전소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강화). △ 미세먼지 대응: 공기청정기 설치, 안전 경보 시스템, 외교적 해결. △ 안전 관련 대응: 안전성 검사 강화, 경보시스템 구축, 재난대비 인프라 (대피로, 내진설계 등).